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대구 중심의 발자취, 향촌동 이야기



왜 향촌동인가

대구시 중구 향촌동의 추억속으로 여러분을 초대합니다.

향촌동은 오랜 세월 대구의 도심이었다. 경상감영이 설치된 조선 중기부터 경북도청이 옮겨간 1960년대까지 영남의 중심지요 대구의 시내로 전성기를 누렸다. 우리가 향촌동에 주목하는 것은 어느 도시에서나 있을 법한 이같은 도심의 옛 명성 때문만은 아니다.
대구 향촌동만이 지닌 고유한 역사와 정서 때문이다.

단체 사진

6ㆍ25전쟁과 함께 피란 문단이 형성되면서 향촌동은 경향
각지에서 모여든 숱한 문인묵객들의 정신적인 고향이었다.
이곳은 1950, 60년대를 풍미했던 문화예술인들이 드나들던 건물이 아직도 옛 모습을 간직하고 있다.

전란의 와중에서 술 한 잔에 목말라하며 표류하던 좁은 골목길도 여전하다. 향촌동에는 그들이 뿌려놓은 낭만과 일화가 고스란히 스며있다.

피란 문인들의 기항지였던 음악감상실 르네상스 골목 끝에
구상 시인이 단골로 묵었던 화월여관이 있었고, 그 앞 백록
다방에서 천재화가 이중섭은 담배 은박지에 그림을 그렸다.


인근 호수다방 앞에서 음악가 권태호는 지팡이로 행인을 가로막고 통행세(담뱃값)를 거뒀으며, 북성로 쪽 모퉁이에는 이효상 시인의 출판기념회가 열린 모나미다방이 있었다. 르네상스 남쪽 골목 끝에는 젊은 작가들의 문화살롱이었던 녹향이 있었고, 그 2층에 단골 곤도주점이 자리했다.

향촌동은 피란 문인들과 예술인들이 전쟁의 후유증 속에 실향과 이산의 아픔을 나눈 곳이다. 삶의 고뇌와 문학과 예술에 대한 꿈을
한 잔 술로 달래던 곳이다. 당시 대구 향촌동은 한국 문단의 중심지였다. 오상순,김팔봉,마해송,조지훈,박두진,구상, 최정희,최태응
등의 문인과 작곡가 김동진, 화가 이중섭 등 한국을 대표하는 작가들이 대구에서 피란살이를 했기 때문이다. 이들과 함께 한 향촌동은 전란의 여파와 가난의 질곡에도 낭만이 있었고, 피폐와 절망 속에서도 술이 익고 음악이 흘렀다.
피란 시절 향촌동은 우리 문화예술의 요람이었다. 그래서 향촌동 시대 사람들의 삶과 문학 그리고 사랑과 예술 안팎에는 파란과
격동의 1950년대 한국문화의 지형도가 남아있는 것이다.

 


포연에 이지러진 시대, 그 허무의 강을 여울처럼 흐르다
간 최정희,서정희,장덕조, 이화진 등 여성문인들의 삶과
문학은 더욱 처연할 수밖에 없었다.

불운한 시절 모닥불 같은 삶을 문학과 예술에 사르고 간
사람들의 그 여정은 어쩌면 오늘 우리의 실존적 원형을
잉태한 산고(産苦)였는지도 모른다. 그래서 향촌동인
것이다.

낙화유수(落花流水)의 세월따라 지금은 퇴락한 거리가
되었지만, 우리가 향촌동을 다시 찾는 것은 한때 대구와
한국의 삶 한가운데를 껴안았던 이 골목의 애틋하고도
소중한 이야기들을 기억하고 후손들에게 들려주기
위해서다.

단체사진